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tip:windows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이전 판
다음 판
이전 판
tip:windows [2016/12/08 20:02] – [앱 설치가 안되는 경우] kieunstip:windows [2025/03/31 13:13] (현재) kieuns
줄 1: 줄 1:
 +====== Windows11 윈도우즈11 ======
 +
 +===== 바탕화면(데스크톱)의 아이콘 글자 그기 변경 =====
 +
 +**아이콘의 폰트 크기를 크게 조절**
 +
 +> grok ai에게 물어보면서 고쳤다 (오~)
 +
 +<markdown>
 +관련 레지스트리 위치
 +
 +```
 +HKEY_CURRENT_USER\Control Panel\Desktop\WindowMetrics
 +```
 +
 +#### 주요 키와 설명
 +- **`IconFont` (REG_BINARY)**: 데스크탑 아이콘의 폰트와 크기를 정의합니다.
 +- **`CaptionFont`**: 제목 표시줄의 폰트 설정.
 +- **`MenuFont`**: 메뉴 텍스트의 폰트 설정.
 +- **`MessageFont`**: 메시지 박스 텍스트의 폰트 설정.
 +- **`SmCaptionFont`**: 작은 캡션(예: 도구 모음)의 폰트 설정.
 +- **`StatusFont`**: 상태 표시줄의 폰트 설정.
 +
 +이 중 데스크탑 아이콘 폰트 크기를 변경하려면 **`IconFont`** 값을 수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 +
 +
 +### 수정 방법
 +1. **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**
 +- `Win + R`을 누르고 `regedit`를 입력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엽니다.
 +
 +2. **경로 이동**
 +   - `HKEY_CURRENT_USER\Control Panel\Desktop\WindowMetrics`로 이동합니다.
 +
 +3. **`IconFont` 값 확인**
 +   - `IconFont`는 REG_BINARY 형식으로 저장되며, 폰트 이름과 크기 정보를 포함합니다.
 +   - 기본적으로 데이터는 폰트 이름(예: "Segoe UI")과 크기(바이트 단위로 인코딩)를 나타냅니다.
 +
 +4. **폰트 크기 수정**
 +   - `IconFont`를 더블클릭해 편집 창을 엽니다.
 +   - 데이터는 유니코드(UTF-16LE)로 인코딩된 폰트 이름과 뒤에 붙는 크기/스타일 정보로 구성됩니다.
 +   - `IconFont`와 같은 REG_BINARY 값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:
 +     - **폰트 이름**: UTF-16LE로 인코딩된 문자열 (널 종료 `00 00`으로 끝남).
 +     - **폰트 속성**: 크기(보통 음수 포인트 값), 굵기(weight), 기울임(italic) 등의 정보.
 +
 +   - `IconFont`의 시작 값이 이렇다면, `F4 FF FF FF 00 00 00 00 00`
 +     - `F4 FF FF FF`는 4바이트로, 부호 있는 32비트 정수로 해석하면 `-12` (`0xFFFFFFF4`)입니다.
 +     - Windows에서 폰트 크기는 포인트 단위로 저장되며, 음수 값으로 표현됩니다. 예:
 +       - `-12`는 약 9pt (DPI에 따라 다름).
 +       - `-16`은 약 12pt.
 +       - 따라서 `F4 FF FF FF`가 폰트 크기를 나타낸다고 가정하면, 이 값은 9pt 크기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.
 +     - 만약 이 값이 정말 `IconFont`의 일부라면, 폰트 크기를 키우려면 `F4 FF FF FF`를 예를 들어 `F0 FF FF FF` (-16, 12pt)로 변경하는 식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.
 +
 +5. **변경 후 적용**
 +   - 값을 수정한 뒤 확인을 누르고, 컴퓨터를 **로그아웃**하거나 **재부팅**해야 반영됩니다.
 +</markdown>
 +
 +====== 레지스트리 ======
 +
 +[[tip:영문-폰트와-한글-폰트-매핑|한글 이외 폰트를 먼저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싶다면]] 여기에서
 +
 +레지스트리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윈도우즈 정보를 정리한다.
 +
 +**설치된 폰트 확인**
 +
 +  * 정확한 이름을 알아보기 위해서라든지, 뭐가 설치된 상태인지 알아보던지.
 +  * HKEY_CURRENT_USER\SOFTWARE\Microsoft\Windows NT\CurrentVersion\Fonts
 +
 +**다른 언어 폰트를 더 먼저 쓰게 설정하려면**
 +
 +  * 일본어의 경우, 일본어 폰트로 표시하게 하고 싶다든지
 +  * HKEY_LOCAL_MACHINE\SOFTWARE\Microsoft\Windows NT\CurrentVersion\FontLink\SystemLink 
 +
 +
 +
 +{{tag>레지스트리}}
 +
 +====== Window10 ======
 +
 +===== 탐색기에서 보기 싫은 폴더 항목 삭제 =====
 +
 +  * "내 PC"에서 사용하지 않는 폴더 제거. 동영상, 그림, 음악 같은 폴더 삭제하려면 레지스트리를 직접 건드리는 수 밖에 없다.
 +    * {{:tip:win10_라이브러리_제거_32_64_.zip|}}
 +
 +==== 탐색기에서 'Creative Cloud Files' 폴더 감추기 ====
 +
 +  * RegEdit.exe 실행합니다.
 +  * "HKEY_CLASSES_ROOT\CLSID" 키를 선택.
 +  * "**Creative Cloud Files** 로 검색해서 찾아낸 값에서 아래 항목을 변경.
 +  * **System.IsPinnedToNameSpaceTree** 를 **0**으로 변경.
 +  * [[https://www.reddit.com/r/techsupport/comments/3f4hl2/remove_creative_cloud_files_from_file_explorer/|자료 링크]]
 +
 +==== 탐색기에서 'OneDrive' 폴더 감추기 ====
 +
 +  * RegEdit.exe 실행합니다.
 +  * "HKEY_CLASSES_ROOT\CLSID" 키를 선택.
 +  * **OneDrive** 로 검색을 시작해서 찾아내는 곳에서 아래 항목 수정.
 +    * 내가 찾아서 나왔던 값. <nowoki> HKEY_CLASSES_ROOT\CLSID\{018D5C66-4533-4307-9B53-224DE2ED1FE6} </nowiki>
 +  * **System.IsPinnedToNameSpaceTree** 를 **0** 으로 변경.
 +
 +
 +===== 탐색기가 종종 느린 경우 =====
 +
 +  * 레지스트리
 +    * HKEY_LOCAL_MACHINE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explorer\Browser Helper Objects
 +    * 내부 항목을 모두 삭제.
 +  * 아이콘 미리보기 끄기도 도움이 되겠으나... 그러서야 뭐, 지금 os를 쓰는 의미가.
 +
 +===== 단축키 =====
 +
 +|< 100% 50% 50% >|
 +^ 단축키 ^ 설명 ^
 +| <key>Win</key>+<key>D</key> | 모든 앱 최소화. |
 +| Ctrl+Shift+M | 모든 최소화된 창 최대화. |
 +| Windows Key+Home | 현재 사용중인 창을 제외한 모든 창 최소화. |
 +| Windows Key+L | PC 잠그기. |
 +| Windows Key+E | 탐색기. |
 +| Alt+Up | 파일 탐색기내 한 수준 올라가기. |
 +| Alt+Left | 파일 탐색기내 이전 폴더로. |
 +| Alt+Right | 파일 탐색기내 다음 폴더로. |
 +| Alt+Tab | 창간 이동. |
 +| Alt+F4 | 현재 창 닫기. |
 +| Windows Key+Shift+Left (or Right) | 창을 연결된 다른 모니터로 이동. |
 +| Windows Key+T | 작업 표시줄내 앱간 이동. (엔터를 치면 해당 창으로 이동, 또는 실행). |
 +| Windows Key+Any Number Key | 작업 표시줄내 앱 실행(앱 순서가 번호) |
 +
 +|< 100% 50% 50% >|
 +^ 단축키 ^ 설명 ^
 +| Ctrl+Shift+Esc | 작업 관리자 실행. |
 +| Windows Key+R | 실행 창 열기. |
 +| Shift+Delete |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, 영구 삭제. |
 +| Alt+Enter | 현재 선택된 파일의 속성 창. |
 +| Windows Key+U | 접근성 센터 열기. |
 +| Windows Key+Space | 입력 언어 및 키보드 전환. |
 +| Windows Key+Shift+Any Number Key | 작업 표시줄내 앱 새 창 실행 |
 +| Windows Key+Ctrl+Shift+Any Number Key | 작업 표시줄내 앱 새 창 실행(관리자 권한) |
 +
 +|< 100% 50% 50% >|
 +^ 단축키 ^ 설명 ^
 +| <key>Alt</key>+<key>D</key> | 주소 표시줄 선택 |
 +| <key>Alt</key>+<key>Space</key> | 활성 창의 바로 가기 메뉴 열기 |
 +| Alt+Esc | 항목을 열린 순서대로 선택 |
 +| Ctrl+Alt+Shift+화살표 키 | 시작 메뉴에서 그룹이나 타일에 초점이 있을 때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 |
 +| Ctrl+Alt+Tab |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 열린 모든 앱 간 전환 |
 +| Shift+F10 | 선택한 항목에 대한 바로 가기 메뉴 표시 |
 +| Ctrl+Shift+N | 새 폴더 만들기 |
 +| F11 | 활성 창 최대화 또는 최소화 |
 +| Shift+작업 표시줄 단추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 | 앱의 창 메뉴 표시 |
 +| Shift+그룹화된 작업 표시줄 단추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 | 그룹의 창 메뉴 표시 |
 +
 +|< 100% 50% 50% >|
 +^ 단축키 ^ 설명 ^
 +| 키 입력을 잘못적은 것 아닐까? ||
 +| (?)Windows Key+, | 일시적으로 앱을 감춰, 데스크톱 보기. |
 +
 +
 +===== 윈도우즈 스토어로부터 앱 설치가 안되는 경우 =====
 +
 +윈도우즈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(Microsoft Store)에서 앱 설치가 안되는 경우..
 +
 +  파이널 : 윈도우 재설치가 답
 +
 +  * 앱 저장소 변경 후, 앱 설치가 안되는 경우
 +
 +왜 윈도우즈는 이런 문제가 꼭 생기는 걸까..
 +
 +재현 케이스
 +
 +  - 앱의 저장소 위치를 C 드라이브 이외의 드라이브로 설정 (예: F:\) \\ 이후 한참 사용하다가 일이 생겨서,
 +  - F:\ 드라이브의 하드를 새 드라이브로 교체. 
 +  - 새 드라이브를 잠시 G:\로 사용했다가 되었다가 \\ 완전 교체후 드라이브 명을 F:\ 다시 변경
 +    * 이때 잠시 앱 저장소를 C로 변경했다가 드라이브 교체 후, 다시 새 F:\로 변경
 +  - 앱의 저장소를 F:\로 변경 했는데.. 이 후에 앱 설치가 되지 않음.
 +  - 에러 코드로 웹에서 검색해봐야 이유를 찾을 수가 없다.
 +
 +짐작되는 이유
 +
 +  * 아래의 레지스트리에 앱 저장소 정보가 있는데
 +    - HKEY_LOCAL_MACHINE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Appx\CodeIntegrity\Roots
 +    - HKEY_LOCAL_MACHINE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Appx\PackageVolumes
 +  * 저장소를 다른 드라이브로 설정 하는 경우
 +    * ...\CodeIntegrity\Roots\1
 +    * ...\CodeIntegrity\Roots\2
 +    * ...\PackageVolumes\1
 +    * ...\PackageVolumes\2
 +  * 저장소 개수만큼 서버 폴더가 생기는데 PackageVolumes 쪽의 내용은 저장소를 변경할때마다 계속 늘어나는 방식인 듯
 +  * PackageVolumes의 하위 키에는 1번 항목에는 C 드라이브, 2번부터는 한번씩 추가된 저장소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, \\ .. \\ (이미 사라진) 없는 드라이브에 먼저 설치하려다가 실패하는 것 같다. \\ 이 부분을 수정하고 난 뒤에는 정상 설치가 가능.
 +  * 휴우
 +
 +====== C 드라이브 용량 조절 ======
 +
 +[[http://www.hanselman.com/blog/GuideToFreeingUpDiskSpaceUnderWindows7.aspx|Guide to Freeing up Disk Space under Windows 7]]
 +
 +  * 윈도우즈 내장 DiskCleanup으로 윈도우즈 업데이트 백업 삭제
 +  * 하이버네이션 기능 삭제
 +  * 메모리가 넉넉하면(20기가 이상이면) 가상메모리를 삭제 또는 현재 메모리의 1/2 수준으로 조정
 +
 +  * [[tool:zzz#Space Sniffer|하드 사용량 확인해주는 프로그램]]
 +====== 윈도우즈7 부팅 속도 느리면 ======
 +
 +요약하면, 부팅 정책을 추가합니다.
 +
 +  - gpedit.msc (로컬그룹정책편집기, 오픈)
 +  - 컴퓨터 구성 > 관리 템플릿 > 시스템 > 문제 해결 및 진단 > Windows 부팅 성능 진단 > 시나리오 실행 수준 구성 : 실행
 +  - 시나리오 실행 수준 구성
 +    - "사용" 선택
 +    - "검색 및 문제 해결만" 선택
 +    - 적용 버튼 클릭
 +  - 체크 : 서비스 중에 DPS 가 실행 중인지 확인. 이게 있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.
 +
 +====== 윈도우즈7 로그온 화면 바꾸기 ======
 +
 +귀찮으니 링크만 : [[http://funeasy.tistory.com/273|http://funeasy.tistory.com/273]]
 +
 +
 +====== 튜닝? 하지만 효과는 그닥 ======
 +
 +
 +직접 해보고 적은 것이라고 한다.넷북용으로 조정한 건데, 그닥 효과가..
 +
 +  - 복사가 안되므로 링크를 검
 +  - 출처 : [[http://blog.naver.com/daehwa777?Redirect=Log&logNo=80099664687]] 
 +
 +====== 중지시킬서비스 ======
 +
 +언젠가 다시 필요한 때가 오면 또 알아서 깔리겠죠.
 +
 +  - CwService.exe : Contents Wall CwService
 +  - Apple Mobile Devcie : 이 넘의 아이폰..
 +  - 본주루 서비스 
 +  - Naver UpdateService
 +  - NDrive Mount Service
 +  - npkcmsvc : 온라인 게임 업계 사람은 피해갈 수 없나..
 +