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nguage:python:함수_모음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|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| language:python:함수_모음 [2016/09/15 17:40] – 만듦 kieuns | language:python:함수_모음 [2024/04/23 22:44] (현재) – 바깥 편집 127.0.0.1 | ||
|---|---|---|---|
| 줄 1: | 줄 1: | ||
| + | 유니코드 값 변경 | ||
| + | |||
| + | * **ord()** : 문자 -> 숫자값 | ||
| + | * **chr()** : 숫자값 -> 문자 | ||
| + | |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# 문자 -> 숫자값 | ||
| + | >>> | ||
| + | 44032 | ||
| + | >>> | ||
| + | 12354 | ||
| + | # 숫자값 -> 문자 | ||
| + | >>> | ||
| + | ' | ||
| + | >>> | ||
| + | '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문자열 포맷 exam | ||
| + | |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print('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==== 포맷팅 ==== | ||
| + | |||
| + | " | ||
| + | |||
| + | **{0}** 대신 사전식 방법 사용 가능 | ||
| + | |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>>> | ||
| + | >>> | ||
| + | print("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지역변수를 사전 형식으로 사용 가능. locals() 사용 | 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>>> | ||
| + | >>> | ||
| + | >>>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사전자료형을 쓰는 경우, 앞에 < | ||
| + | |||
| + | 변수의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| 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numz = [5,4,3,2,1] | ||
| + | print(" | ||
| + | print("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==== 입력 ==== | ||
| + | |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a = input('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===== pickle ===== | ||
| + | |||
| + | 객체류의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 | ||
| + | |||
| + | ===== ctypes ===== | ||
| + | |||
| + | C나 dll 에서 함수 불러서 사용하기 | ||
| + | |||
| + | ===== decimal ===== | ||
| + | |||
| + | 정확한 정수와 부동소수점 표현을 위한 클래스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=====random===== | ||
| + | |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random.random(), | ||
| + | random.sample(N,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====== 함수들 ====== | ||
| + | |||
| + | = type(어떤 변수) : 타입체크 | ||
| + | = id(어떤 변수) : 주소확인 | ||
| + | = globals() : 내장함수 확인 | ||
| + | = __builtins__ : 내장함수의 리스트. dir(__builtins__) | ||
| + | = help(xx) : 도움말을 불러온다 | ||
| + | |||
| + | = filter(METHOD, | ||
| + | = zip() : 두개의 리스트를 묶어 튜플로 만든다 | ||
| + | = zip(*인자) : 튜플인자에 *를 붙여 사용하면 리스트로 다시 분리 | ||
| + | = map() : 시퀀스형 객체를 순회하면서 모든 값에 대해 뭔가 처리가 필요할때 (값 갱신) | ||
| + | = join() : 문자열 내장함수, | ||
| + | |||
| + | ===== os 관련 주요 모듈 ===== | ||
| + | |||
| + | = os.getcwd() : 현재 디렉토리 경로 얻기 | ||
| + | = os.chdir( path ) : 디렉토리, | ||
| + | = os.access( path, mode ) : path에 대해서 mode에 해당하는 작업이 가능한지 확인 | ||
| + | = : F_OK 파일 존재 여부 | ||
| + | = : R_OK, W_OK : 읽기 쓰기가 가능한지 확인 | ||
| + | = : X_OK : 실행 가능한가 확인 | ||
| + | = os.sys tem( command ) : command 를 실행하며 성공한 경우 0을 리턴.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파일 복사, | ||
| + | |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import shutil | ||
| + | shutil.copy( 원본파일, | ||
| + | shutil.move( 원본파일,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[[https://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|||
| + | ini 파일 읽고 쓰기 | ||
| + | |||
| + | <code python> | ||
| + | import configparser | ||
| + | </ | 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