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내용으로 건너뛰기

GINS WIKI 긴스 위키

사용자 도구

  • 로그인

사이트 도구

  • 최근 바뀜
  • 미디어 관리자
  • 사이트맵
현재 위치: 긴스위키 GINS wiki » config
추적:

config

검색

아래에서 검색 결과를 찾을 수 있습니다.

정확히 일치
  • 정확히 일치
  • 시작
  • 끝
  • Contains
@tool
  • 모든 네임스페이스
  • tool:source-control (2)
  • tool:text-editor (1)
Any time
  • Any time
  • 저번 주
  • 저번 달
  • 저번 년도
조회수로 정렬
  • 조회수로 정렬
  • Sort by last modified

전체 텍스트 결과:

OpenVPN
15 조회 수, 마지막으로 수정됨: 13개월 전
**easy-rsa** 폴더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. * 맨 처음에는 init-config 를 실행하면 샘플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게 된다. * openssl.cnf *... 일을 백업하든지 뭐하든지 .. ( 삽질할 것 같으면 백업해 두는 게 좋다. ) 끝났으면, config 폴더로 카피해 둔다. C:\Program Files\OpenVPN\easy-rsa> copy keys\ca.crt ..\config\ [color=red]Important: Key files (.key) are very... 상태가 쭉쭉 표시되야 한다. 그렇지 않으면 잘 안되는 것이므로 다시 할 것.\\ 그리고 config 폴더에 내용을 카피 C:\Program Files\OpenVPN\easy-rsa>
OSX에서 한글 깨지는 경우 @tool:source-control
3 조회 수, 마지막으로 수정됨: 13개월 전
ode** 옵션을 **true**로 변경. <code> // for global git config --global core.precomposeunicode true // for local (each git folder) git config --local core.precomposeunicode true </code> 또는, 각 git 폴더에 **.git**폴더에 들어가서 **config** 파일을 열어서 <code> precomposeunicode = false ;; fa
리파지토리의 설정 보기
2 조회 수, 마지막으로 수정됨: 13개월 전
사용법 kieuns) }} ====== 리파지토리의 설정 보기 ====== git config -l 현재 설정 상태를 모두 볼 수 있다. ====== 대소문자 구분 CaseSens... 구분하지 않는 것. 하지만 설정을 바꿔서 대소문자를 구분하게 할 수 있음. git config core.ignorecase false 보통은 신경 쓸일이 없는데, 유니티에서 파일 이
독시젠 A to Z
1 조회 수, 마지막으로 수정됨: 13개월 전
다. ===== Unity3D (C#)를 위한 설정 ===== ++++ Doxygen Config 펼치기 | <file txt doxygenConfigSample.txt> # Doxyfi
Ignore List @tool:source-control
1 조회 수, 마지막으로 수정됨: 13개월 전
e </code> 전역설정으로 필요없는 파일을 제거하려면 ~/.subversion/config 파일에서 아래 부분의 주석을 제거한다. 그리고 필요 없다고 생각되는 확장자를 추가한다.
NodePad++ @tool:text-editor
1 조회 수, 마지막으로 수정됨: 13개월 전
로 쓰면 뻥날 것 같은데... * {{:tool:20130604-notepad-pp-config.zip}} * 2013/6/4 백업 * %appdata% 폴더의 **NotePad

문서 도구

  • 문서 보기
  • 이전 판
  • 역링크
  • 맨 위로
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, 이 위키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: CC Attribution-Share Alike 4.0 International
CC Attribution-Share Alike 4.0 Internationa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