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:elastic_beanstalk_ssh_연결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|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| 이전 판 | ||
| aws:elastic_beanstalk_ssh_연결 [2020/05/14 16:27] – kieuns | aws:elastic_beanstalk_ssh_연결 [2024/04/23 22:43] (현재) – 바깥 편집 127.0.0.1 | ||
|---|---|---|---|
| 줄 1: | 줄 1: | ||
| + | {{htmlmetatags> | ||
| + | metatag-keywords=(ElasticBeanstalk, | ||
| + | metatag-description=(EC2에 새 키페어를 사용해서 SSH 연결성 되살리기) | ||
| + | metatag-og: | ||
| + | }} | ||
| + | |||
| + | {{page> | ||
| + | |||
| + | < | ||
| + | |||
| + | ElasticBeanstalk 에 SSH 연결 기능 되살리기 | ||
| + | |||
| + | ====== 새 키페어 만들기 ====== | ||
| + | |||
| + | 메뉴이동: | ||
| + | |||
| + | * **AWS 콘솔 홈** 화면 > 상단 메뉴 **서비스** > **EC2** 선택 | ||
| + | * **EC2** 홈화면 > **네트워크 및 보안** > **키 페어** | ||
| + | * **키 페어** 홈화면 도착 | ||
| + | |||
| + | 키 만들기 | ||
| + | |||
| + | * **키 페어 생성** 버튼 클릭해서 **키 페어 생성 화면**으로 이동 | ||
| + | * 파일 형식: **pem**으로 선택 | ||
| + | * 이름을 구분하기 쉽게 잘 정의할 것 | ||
| + | |||
| + | 새로 만든 키를 사용하려면 ElasticBeanstalk 의 EC2 인스턴스에 새 키를 집어 넣어야 하는데 자동화된 기능이 있음 | ||
| + | |||
| + | ====== ElasticBeanstalk 에 키페어 설정 ====== | ||
| + | |||
| + | 메뉴이동: | ||
| + | |||
| + | * **AWS 콘솔 홈** 화면 > **서비스** > **Elastic Beanstalk** 클릭 | ||
| + | * **Elastic Beanstalk** 홈화면 > **환경** | ||
| + | |||
| + | 설명 편의를 위해, " | ||
| + | |||
| + | ' | ||
| + | |||
| + | * **환경 이름** 중에 SSH 연결을 되살릴 항목 선택. ( " | ||
| + | * " | ||
| + | |||
| + | **Elastic Beanstalk** 홈 화면 > **환경** > **SampleWeb** 이 열린 상태 | ||
| + | |||
| + | * **Elastic Beanstalk** 홈 화면 > **환경** > **SampleWeb** > **구성** 메뉴 클릭 | ||
| + | * **Elastic Beanstalk** 홈 화면 > **환경** > **SampleWeb** > **구성** > **보안** 의 **편집** 버튼 클릭 | ||
| + | |||
| + | * **Elastic Beanstalk** 홈 화면 > **환경** > **SampleWeb** > **구성** > **보안 수정** | ||
| + | - **EC2 키 페어** 항목에 [[aws: | ||
| + | - **적용** 버튼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복제 & 재시작되면서 (시간이 좀 걸림) 키 설정이 끝남 | ||
| + | |||
| + | 새로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교체하고 환경을 복제하는 형식인듯 | ||
| + | |||
| + | [[https://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====== PUTTY 연결 설정 ====== | ||
| + | |||
| + | AWS 매뉴얼을 따라서 하면 되는데, 우선 링크를 저장. | ||
| + | * [[https:// | ||
| + | * 자동으로 되지 않는 경우 [[https:// | ||
| + | |||
| + | [[aws: | ||
| + | |||
| + | [[aws: | ||
| + | |||
| + | |||
| + | ===== 프라이빗 키 만들기 ===== | ||
| + | |||
| + | * PUTTYGEN 실행 > PUTTYGEN 화면에서 | ||
| + | * **Load** 버튼 클릭해서 **pem** 파일을 읽어온다. | ||
| + | * 로드 대화상자에는 **pem** 파일이 없지만 확장자 필터를 ' | ||
| + | |||
| + | * 성공적으로 읽었다는 안내메시지가 보이는건 패스 | ||
| + | |||
| + | * **Save private key** 버튼 눌러서, 프라이빗키 저장. -> putty에서 **AUTH** 용 키 값으로 사용합니다. | ||
| + | * **Save public key**가 필요할까? | ||
| + | |||
| + | ===== PUTTY 설정 ===== | ||
| + | |||
| + | * **PUTTY** 실행 | ||
| + | |||
| + | * **Session** > **Host Name** 에, **ec2-user@{IP 또는 도메인}** 입력 | ||
| + | * **ec2-user** : ec2 인스턴스의 기본 계정 아이디 | ||
| + | * 도메인은 AWS에서 임의 발행해준 도메인 입력 | ||
| + | |||
| + | * **Connection** > **SSH** > **Auth** > **Private key file for authentication** <- 위에서 저장한 프라이빗 키 설정 | ||
| + | |||
| + | * SSH 세션 접속. | ||